기초 교리공부Ⅰ에서 “성도들의 교회 참석과 책임”을 공부함으로써 성도들이 생활 중에 해야 할 일들과 지역교회 안에서 해야 할 일들을 공부했습니다. 기초 교리공부Ⅱ에서는 “교회의 직분”에 대한 교리로 지역교회에는 어떤 직분이 있으며, 이 직분을 맡는 자들의 자격과 각 직분에 대한 성경의 상세한 가르침을 올바로 알고 성경의 말씀 그대로 실행함으로 거짓교회, 거짓목사를 분별하고 교회의 분열을 막을 수 있습니다.

지금 한국 교회는 교회의 직분을 비성경적으로 가르치고 행함으로써 교회가 부패된 큰 원인을 제공했습니다. 대부분의 교회는 물질적이고 외형적인 성장이 목표가 되어 기업화(Business)되고 하나님을 두려워하고 섬기는 조직체가 아닌 세상을 두려워하고 세상에 이름을 알리려는 세상의 조직체와 되었습니다. 그리스도인들은 이런 현실을 직시하여 성경에서 말씀하시는 교회의 직분을 올바로 배우고 알아 이들의 잘못된 가르침을 지적하여 잘못된 길로 향하는 자들을 바른 길로 안내해야 합니다.

그럼 성경이 말씀하시는 “교회의 구성원”은 어떻게 이루어졌을까요?

                            1교회의 구성원은 성도, 감독, 집사로 이루어 졌다. 예수 그리스도의 종 바울과 디모데는 빌립보에 있는 그리스도 예수 안의 모든 성도들과 감독들과 집사들에게 편지하노니,
                            
                            1Paul and Timotheus, the servants of Jesus Christ, to all the saints in Christ Jesus which are at Philippi, with the bishops and deacons:

빌립보서 1:1한글킹제임스성경

위 구절은 분명하게 교회의 직분을 말씀하시는데 그 직분들이 “성도, 감독, 집사”입니다. 이 3가지 직분 외에 한국교회에선 이상한 직분들(강도사, 전도사, 권사, 안수집사, 서리집사, 시무장로, 명예장로⋯)을 만들어 낸 것은 하나님의 말씀을 무시하고, 자기 교회의 재정적인 성장을 위해서 사람들에게 직분들을 팔고, 교회에 묶어두기 위해서 입니다. 이들은 이 직분을 몇 백만 원에서 몇 천만 원에 파는 장사까지도 하고 있는 것이 현실입니다.

그러나 빌립보서 1장 1절에서 말씀하시 듯이 교회안의 직분은 오직 세 가지 직분만이 있는 것입니다. 성경에 없는 직분을 만듦으로써 이 직분을 사서 지위를 자랑하는 자와 직분을 사지 못한 자의 시기 등으로 교회는 부패하고 세상의 조롱거리가 되었습니다.

예수님께서 승천하시면서 주신 은사들을 보면, 사도시대 이후 교회시대 때에 주신 직분들을 알 수 있습니다.

                            11지금은 없는 것과 현재에도 있는 직분 그가 어떤 사람들은 사도로, 어떤 사람들은 선지자로, 어떤 사람들은 복음 전도자로, 어떤 사람들은 목사와 교사로 주셨으니
                            
                            11And he gave some, apostles; and some, prophets; and some, evangelists; and some, pastors and teachers;

에베소서 4:11한글킹제임스성경

사도와 선지자는 사도시대(12 제자)가 끝남으로 없어졌으며, 지금 신약교회에는 하나님께서 “복음 전도자, 목사, 교사”를 주셨습니다.

이 중 제일 첫 번째의 직분인 목사의 직분과 자격을 보겠습니다.

1. 장로와 감독, 목사는 한 직분이다.

목사를 주심

                            16바울은 아시아에서 시간을 아끼려고 배로 에베소를 지나치고자 작정하였으니 이는 가능하면 오순절 날에 예루살렘에 도착하려고 서둘렀기 때문이라. 
                            17그리하여 그가 밀레토에서 에베소로 보내어 교회의 장로들을 청하니
                            27이는 내가 하나님의 모든 계획을 조금도 주저함이 없이 너희에게 전해 주었음이라. 
                            28그러므로 너희 자신을 조심하고 모든 양떼에게도 그리하라. 이들을 위하여 성령께서는 너희를 감독자들로 세우셨으며 하나님께서 자신의 피로 사신 하나님의 교회를 돌보게 하셨느니라.
                            
                            16For Paul had determined to sail by Ephesus, because he would not spend the time in Asia: for he hasted, if it were possible for him, to be at Jerusalem the day of Pentecost.
                            17And from Miletus he sent to Ephesus, and called the elders of the church.
                            27For I have not shunned to declare unto you all the counsel of God.
                            28Take heed therefore unto yourselves, and to all the flock, over the which the Holy Ghost hath made you overseers, to feed the church of God, which he hath purchased with his own blood.

사도행전 20:16-17, 27-28한글킹제임스성경

대부분의 교인들은 장로교회의 장로와 성경에서 말씀하시는 목사를 지칭하는 장로를 혼동하는데, 이 혼동을 해결해 주는 것이 사도행전 20장 16절부터 29절까지의 문맥입니다. 이 구절들을 정리해보면 사도바울이 오순절날에 맞추어 예루살렘에 도착하기 위해서 에베소를 들르지 않는 대신 밀레토에서 에베소 교회의 장로들을 초청하여 이야기 하는데, 그 내용은 결박과 고난이 기다리고 있는 예루살렘에 들어가는 각오와 자신의 사역에 대한 심정을 토로하면서 자신이 떠난 후엔 흉악한 이리들이 들어올 것이니 장로들에게 조심하라고 당부하고 모든 양떼들을 조심시키라고 부탁하고 있는 것입니다.

이 초청한 장로들을 28절에선 바울은 감독이라 부르며, 피로 사신 하나님의 교회를 돌보게 하기 위하여 세운자들이라고 이야기하고 있음에서 우리들은 “장로, 감독, 목사”가 한 직분임을 알 수 있는 것입니다.

17절 : 사도바울이 오순절날 예루살렘에 도착하려고(16절) 에베소 장로들을 자신이 있는 밀레토에 초청하고 있는데 이 초청한 장로들이 장로교단의 장로가 아닌 목사인 장로입니다. 이것을 알 수 있는 구절이 27,28절 입니다. 바울은 이들에게 “하나님의 모든 계획을 알려 주었고 몸을 조심하고 모든 양떼에게도 그리하라고 권고”하고 있으며, 이 장로들을 감독자라고 하며, 하나님의 교회를 돌보는 자들이라고 말씀하심에서 “장로와 감독”이 양을 치고 돌보는 Pastor인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바울이 에베소에서 부른 장로는 양을 치는 자인 곧 pastor로 “목사”입니다. 그리고 장로인 이들을 28절에서는 부르는데 성령께서 “감독자(overseers)로 세우셨다”고 하시고, “하나님의 교회를 돌보게”하셨다고 하시는 말씀에서 “감독, 장로, 그리고 먹이고 돌보는 자인 목사”가 한 직분임을 알 수 있습니다.

그러면 왜 이렇게 목사를 세 가지 명칭으로 부르실까요? 이렇게 3가지 명칭를 쓰시는 것은 이유가 있는데 베드로전서에 나와있습니다.

목사의 다른 명칭인 장로

                            1내가 너희 가운데 있는 장로들에게 권하노니 나도 장로 된 자요, 그리스도의 고난의 증인이며, 또한 장차 나타나게 될 영광에 동참하게 될 자라. 
                            2너희 가운데 있는 하나님의 양무리를 치고 돌보되 마지못하여 하지 말고 자원함으로 하며 더러운 이익을 위하여 하지 말고 준비된 마음으로 하며
                            3하나님께서 맡겨 주신 자들을 지배하려 하지 말고 오직 양무리의 본이 되라. 
                            4그리하면 목자장이 나타나실 때 너희가 시들지 않는 영광의 면류관을 받으리라.
                            
                            1The elders which are among you I exhort, who am also an elder, and a witness of the sufferings of Christ, and also a partaker of the glory that shall be revealed:
                            2Feed the flock of God which is among you, taking the oversight thereof, not by constraint, but willingly; not for filthy lucre, but of a ready mind;
                            3Neither as being lords over God's heritage, but being examples to the flock.
                            4And when the chief Shepherd shall appear, ye shall receive a crown of glory that fadeth not away.

베드로전서 5:1-4한글킹제임스성경

a. 양을 치고 돌보는 감독(Overseer)

1절 : 나도 장로라고 하고 있는 베드로가 지금의 장로교 등에서 말하는 장로의 직분을 행하였던 자였습니까? 아닙니다. 베드로는 대표적 사도로서 복음을 증거하고, 교회를 세우고 양떼를 돌보던 목자인 장로였습니다.

2절 : “너희 가운데 있는 양무리를 치고 돌보되” 장로들이 양무리를 치는 목자이고, 돌보는 감독자인 oversight임을 이 구절을 통해서 알 수 있습니다. 정리하면 베드로는 자신을 장로라고 말하며 장로들에게 권고하는데, 이 장로들이 “양을 치는 자들”이라고 말하고 있으며 감독하는 자들이라고 말하는 것입니다. 우리들은 “장로, 목사, 감독”은 모두 한 직분으로 이렇게 세 가지 명칭으로 부르는 이유는 하는 일에 따라 달리 불리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b. 다스리는 자인 장로

잘 다스리는 장로

                            17잘 다스리는 장로들을 배나 존경할 사람으로 여기되 특별히 말씀과 교리에 수고하는 이들에게 그리할지니라
                            
                            17Let the elders that rule well be counted worthy of double honour, especially they who labour in the word and doctrine.

디모데전서 5:17한글킹제임스성경

다스릴 때(rule)는 하나님께서 “장로(Elder)”라는 명칭을 쓰시고, 후반부에 보면 이 장로가 “말씀과 교리에 수고 하는 이들”이라고 하십니다. 이런 일을 하는 직분은 지금 장로교에서 말하는 장로가 아니라 목사를 뜻하는 것입니다. 또한 감독이라는 명칭을 쓸 때는 베드로전서 5장 2절에 보았듯이 양무리를 주시하여 돌보는 일을 하는 감독자이기에 명칭을 나누어서 사용하심을 알 수 있습니다.

이렇듯 성경에선 “장로, 감독, 목사”가 동일한 직분임을 말씀하십니다. 이것을 알 수 있는 관련구절을 더 보겠습니다.

너를⋯남겨 놓은 이유는 장로들을 세우게 하려 위함이니

                            5내가 너를 크레테에 남겨 놓은 이유는 너로 부족한 일들을 바로잡고, 내가 명한 대로 각 성읍에 장로들을 세우게 하려 함이니
                            6누가 되더라도 비난받을 것이 없고 한 아내의 남편이어야 하며, 방탕하다거나 불순종한다는 비방을 받지 않는 신실한 자녀를 둔 사람이어야 하느니라. 
                            7감독은 하나님의 청지기로서 비난받을 것이 없고 자기 고집대로 아니하며, 쉬 화내지 아니하고 술을 즐기지 아니하며, 구타하지 아니하고 더러운 이익을 탐내지 아니하며
                            8대접하기를 좋아하고, 선한 사람들을 좋아하며, 신중하고 정의로우며, 거룩하고 절제하며,
                            9가르침받은 대로 신실한 말씀을 굳게 붙잡아야 하리니, 이는 그가 반박하는 자들을 건전한 교리로 권면하고 설득할 수 있게 하려는 것이라.
                            
                            5For this cause left I thee in Crete, that thou shouldest set in order the things that are wanting, and ordain elders in every city, as I had appointed thee:
                            6If any be blameless, the husband of one wife, having faithful children not accused of riot or unruly.
                            7For a bishop must be blameless, as the steward of God; not selfwilled, not soon angry, not given to wine, no striker, not given to filthy lucre;
                            8But a lover of hospitality, a lover of good men, sober, just, holy, temperate;
                            9Holding fast the faithful word as he hath been taught, that he may be able by sound doctrine both to exhort and to convince the gainsayers.

디도서 1:5-9한글킹제임스성경

장로가 장로교회에서 말하는 장로라면 디도가 각 성읍에 다니면서 장로를 세울 필요가 있었을 까요? 각 성읍의 교회가 한국교회에서 말하는 장로를 세우려고 하였다면 그 교회의 목사와 성도들이 장로를 세우면 되지 왜 디도가 각 성읍의 교회를 다니면서 장로를 세웠겠습니까? 이 장로는 각 성읍 교회의 목사를 뜻하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7절에선 장로, 감독에 대한 자격을 이야기하고 디모데전서 3장에서도 장로와 감독에 대한 자격을 말씀하시는데 목사에 대한 자격을 말씀하시지 않고 있습니다. 성경 전체에서 목사의 자격에 대한 말씀은 한 구절도 없습니다. 그렇다면 목사가 되기 위한 자격은 필요가 없기 때문에 말씀을 하지 않았을까요? 그 이유는 장로, 감독이 목사와 같은 직분이기 때문입니다.

2. 장로 (감독)의 자격

감독의 자격

                            1만일 어떤 사람이 감독의 직분을 원하면 그가 선한 일을 사모한다는 그 말은 참되도다. 
                            2그러므로 감독은 비난받을 일이 없어야 하고, 한 아내의 남편이어야 하며, 절제하고 신중하며, 예의 바르고 대접하기에 힘쓰며, 가르치기를 잘하고                            
                            3술을 즐기지 아니하며, 구타하지 아니하고, 더러운 이익을 탐내지 아니하며, 오직 관대하고, 다투지 아니하며, 탐욕스럽지 아니하고
                            4자기 집안을 잘 다스려서 온전한 위엄으로 자기 자녀들을 순종케 하는 사람이어야 하리라. 
                            5(사람이 자기 집안을 다스릴 줄 모르면 어떻게 그가 하나님의 교회를 돌볼 수 있으리요?) 
                            6초신자여서도 아니되나니, 이는 그가 교만으로 높아져 마귀의 정죄함에로 빠질까 함이라.
                            7또한 외부 사람들로부터도 좋은 평판을 받아야 할지니, 이는 그가 비방과 마귀의 올무에 빠지지 않게 하려는 것이라.
                            
                            1This is a true saying, if a man desire the office of a bishop, he desireth a good work.
                            2A bishop then must be blameless, the husband of one wife, vigilant, sober, of good behaviour, given to hospitality, apt to teach;
                            3Not given to wine, no striker, not greedy of filthy lucre; but patient, not a brawler, not covetous;
                            4One that ruleth well his own house, having his children in subjection with all gravity;
                            5(For if a man know not how to rule his own house, how shall he take care of the church of God?)
                            6Not a novice, lest being lifted up with pride he fall into the condemnation of the devil.
                            7Moreover he must have a good report of them which are without; lest he fall into reproach and the snare of the devil.

디모데전서 3:1-7한글킹제임스성경

감독이 되려면 자격이 있어야 하는데 이 자격들을 보겠습니다.

a. 원하는 마음이 있어야 합니다.(1절 – 선한 일을 사모한다는 그 말은 참되도다)

하나님의 부르심(calling)있으면 원하는 마음이 있게 되고 선한 일을 사모하게 됩니다.

b. 비난 받을 일이 없어야 합니다.(2절)

이 비난은 하나님의 말씀을 전함으로 인하여 받는 것이 아닌 세상의 다른 일들로 인하여 받는 비난을 말합니다.

c. 한 아내의 남편이어야 합니다.(2절)

결혼한 남자여야 하며 여자는 목사가 될 수 없습니다. 혹자들은 이 구절을 “한 번의 결혼”으로 잘못 해석하여 생애에 한 번 결혼한 자로 이혼을 한 자는 목사의 자격이 없다고 하는데 이렇게 해석한다면 만약 목사가 사역 중 아내가 죽었다면 그 목사는 목사의 직분을 할 수 없게 됩니다. 잘못된 성경 해석은 성경의 어느 부분에서 꼭 걸려 넘어지게 될 수 밖에 없습니다. 한 아내의 남편이어야 한다는 말씀은 “일부다처제” 등 음행에 관한 것으로 여러 명의 아내를 둔 자는 장로의 자격이 없다는 말씀인 것입니다. 그리고 한 아내의 남편이라 함은 여자가 아닌 남자만이 목사의 자격이 있음을 성경은 말씀하시는 것으로 여자 목사는 비성경적입니다.

d. 더러운 이익을 탐내지 않는 자여야 합니다.(3절)

하나님의 사역이 아닌 더러운 것을 탐내는 자는 목사의 자격이 없는 것으로 이 말씀으로 비추어 볼 때 지금의 목사들 대부분은 자격이 없음을 알 수 있는데 술 먹고, 탐욕스럽고 다투는 자들은 목사의 자격이 없기 때문입니다.

한 예로 많은 목사들이 성경대로 하지 않는 이유로 “내가 그렇게 하면 교인들이 모이지 않는다.” 또는 “교단에서 쫓겨난다.” 등의 이유를 드는데 이런 모습들은 세상의 더러운 이익을 위한 것으로 이들은 하나님의 말씀을 따르는 자들이 아니며 하나님의 부르심을 받은 자들이 아닌 것을 이 변명으로서 알 수 있습니다.

e. 자기 집안을 잘 다스려 온전한 위엄으로 자녀들을 순종케 하는 자(4,5절)

좋은 예가 한국교회 목사의 자녀들의 모습에서 볼 수 있는데 강단에서의 아버지 모습과 집 안에서의 아버지의 위선적인 이중적 모습으로 인해 그들의 자녀들은 겉으론 교회에 참석하지만 아버지가 말하는 하나님을 믿을 수 없게 되고 결국은 그 자녀들은 지옥으로 갈 수 밖에 없는 것입니다. 이들의 자녀가 세상적으로 성공하였다 해도 그들에게는 위선적인 아버지의 모습으로 하나님을 믿는 믿음이 있을 수 없게 됩니다. 목사 뿐만 아니라 위선적으로 믿음 생활을 하는 사람들도 언젠가는 그 모습이 나타나게 되기에 항상 하나님 앞에 솔직해야 하는 것입니다.

f. 초신자는 목사의 자격이 안됩니다.

자신이 다른 사람보다 잘났다고 하는 교만에 빠지게 되는 마귀의 올무에 빠지게 되는 이유로 초신자는 목사의 자격이 없습니다.

g. 외부 사람들(구원받지 못한)로 부터도 인정받을 평판이 있어야 합니다. (7절)

이러한 자격들이 목사의 자격인데 성경의 말씀하시는 자격들을 갖추지 못하였음에도 목사의 직분을 행한다면 그 사람은 결국 거짓 목사가 되고 거짓 교회를 만들어 마귀의 종 노릇을 하게 되는 것입니다. 또한 성경공부를 잘 가르친다 해서 목사가 될 수 있는 것이 아니고, 유명 대학의 박사 출신이라서, 신학교를 졸업했다고 목사가 될 수 있는 것이 아닙니다. “ 하나님의 말씀대로 신실하게 행하는 자”가 목사로 쓰임을 받는 것입니다. 우리들은 예수님께서 왜 어부들을 제자로 삼으셨는지를 성경에서 말씀하시는 목사의 자격을 통해서 알아야 합니다. 정리하면 목사는 교회를 다스리고, 양떼를 돌보고, 본이 되며, 바른 교리를 알고, 가르치는 자가(에베소서 4장 11절) 목사의 자격이 있는 것입니다.

그 다음이 목사는 “하나님의 말씀과 기도”로 무장되어야 합니다.

h. 하나님의 말씀과 기도에 전념하는 자이어야 합니다.

                            1그 당시에 제자들의 수가 늘어나고 그리스인들이 히브리인들에 대하여 불평이 일어나니 이는 그들의 과부가 매일의 구제에서 소외됨이라.                            
                            2그러자 열두 사도가 제자들의 무리를 불러서 말하기를 “우리가 하나님의 말씀을 버려 두고 식단을 돌보는 것이 옳지 아니하도다. 
                            3그러므로 형제들아, 너희 가운데서 성령과 지혜로 충만하여 훌륭한 평판을 듣는 일곱 사람을 찾아서 택하여 이 일을 맡기고                             
                            4우리는 계속해서 기도하는 일과 말씀의 사역에 전념하리라.”고 하더라. 
                            5그 말이 온 무리를 기쁘게 하니라. 그리하여 그들이 믿음과 성령으로 충만한 사람 스테판과 빌립, 프로코로, 니카놀, 티몬, 파메나와 유대교로 개종한 안티옥 사람 니콜라오를 뽑아서 
                            6사도들 앞에 세우니 그들이 기도한 후에 그들에게 안수하더라. 
                            7하나님의 말씀이 널리 전파되니 예루살렘에 있는 제자들의 수가 크게 늘었으며 제사장의 큰 무리도 이 믿음에 순종하더라.
                            
                            1And in those days, when the number of the disciples was multiplied, there arose a murmuring of the Grecians against the Hebrews, because their widows were neglected in the daily ministration.
                            2Then the twelve called the multitude of the disciples unto them, and said, It is not reason that we should leave the word of God, and serve tables.
                            3Wherefore, brethren, look ye out among you seven men of honest report, full of the Holy Ghost and wisdom, whom we may appoint over this business.
                            4But we will give ourselves continually to prayer, and to the ministry of the word.
                            5And the saying pleased the whole multitude: and they chose Stephen, a man full of faith and of the Holy Ghost, and Philip, and Prochorus, and Nicanor, and Timon, and Parmenas, and Nicolas a proselyte of Antioch:
                            6Whom they set before the apostles: and when they had prayed, they laid their hands on them.
                            7And the word of God increased; and the number of the disciples multiplied in Jerusalem greatly; and a great company of the priests were obedient to the faith.

사도행전 6:1-7한글킹제임스성경

위의 말씀을 정리하면 교회가 커지게 되자 교회 내에 이방인과 유대인 사이에 문제가 발생하여 목자인 사도들은 교회에서 일어나는 모든 일들을 치리하는 것이 어려움을 깨닫고, 식단을 돌보는 집사를 임명하게 되는데 이 ,때 장로인 사도 곧 목사의 사역을 4절의 말씀으로 알 수 있습니다. 목사는 “기도하는 일과 말씀의 사역에 전념”하는 직책임을 알 수 있습니다.

집사는 교회안에서 성령충만하고, 지혜가 충만하며 믿음으로 충만한 자여야 합니다(3-5절). 그러나 지금의 교회에서는 교회에 참석한지 얼마 되지 않은 사람들을 집사, 장로로 세우고 있는데 이것은 영적으로 무지한 일이고, 더러운 욕심을 채우기 위한 일들로서 하나님의 말씀대로 하는 일이 아닌 것입니다.

세 번째로 성경에서 말씀하시는 집사의 자격을 봅시다.

3. 집사의 자격

집사는 목사의 지시에 따라 교회를 섬기는 자로, 봉사가 주된 임무로 그 이름이 디콘(Deacon)이라 하여 하인, 종을 뜻하는 servant, 시중드는 자인 waiter입니다.

                            8이와 같이 집사들도 신중하고, 일구이언하지 아니하며, 술에 인박이지 아니하고, 더러운 이익을 탐내지 아니하며                            
                            9순수한 양심 안에 믿음의 신비를 가진 사람이어야 하느니라.
                            10이런 사람들을 먼저 관찰해 보고, 그후에 비난받을 것이 없으면 집사의 직분을 수행하게 할지니라.                            
                            11그들의 아내들도 이와 같이 신중하고 중상하지 아니하며, 절제하고 모든 일에 신실해야 하리라
                            12집사들은 한 아내의 남편으로서 자신의 자녀와 집안을 잘 다스려야 할지니라. 
                            13집사의 직분을 잘 섬긴 사람들은 자신들을 위하여 좋은 지위를 얻고 또 그리스도 예수 안에 있는 믿음 안에서 큰 담력을 얻느니라.
                            
                            8Likewise must the deacons be grave, not doubletongued, not given to much wine, not greedy of filthy lucre;
                            9Holding the mystery of the faith in a pure conscience.
                            10And let these also first be proved; then let them use the office of a deacon, being found blameless.
                            11Even so must their wives be grave, not slanderers, sober, faithful in all things.
                            12Let the deacons be the husbands of one wife, ruling their children and their own houses well.
                            13For they that have used the office of a deacon well purchase to themselves a good degree, and great boldness in the faith which is in Christ Jesus.

디모데전서 3:8-13한글킹제임스성경

a. 일구이언하지 않는 자로 더러운 이익을 탐내지 않는 자. (8절)

집사는 자기 이익을 위하여 동일한 말을 각각의 사람들에게 다른 말로 전하거나, 목사와 성도에게 하는 말이 달라서 교회를 분열시키는 자가 되어선 안되며, 목사의 자격에서 나온 것 같이 더러운 이익을 탐내지 않는 자여야 합니다. 집사의 자격은 목사의 자격과 비슷하나 오히려 어떤 면에선 더 자격이 까다로운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렇듯 성경은 누구나 교회에 오래 다니고, 나이가 있고, 돈을 교회에 많이 내는 자가 집사가 되는 것이 아님을 말씀하십니다.

b. 하나님의 말씀에 확고한 신념과 계시에 대한 깨달음이 있어야 한다. (9절)

순수한 양심안에 믿음의 신비를 가진 자여야 한다고 9절에서 말씀하십니다.

c. 아내도 신중하여 남을 중상하지 않고 절제하는 신실한 자이야 한다. (11절)

집사가 되기 까다로운 자격이 11절로 집사는 자기 자신뿐만 아니라 자신의 아내도 신중하고 중상하지 않으며, 절제하고, 모든 일에 신실해야 집사의 자격이 있는 것입니다. 집사는 교회의 살림을 맡아서 하는 자인데 그의 아내가 자격이 안되어 살림을 망친다면 교회에 분열을 일으키게 되고 그 교회는 존립할 수 없게 됩니다.

d. 집사는 한 아내의 남편 된 자여야 한다. (12절)

곧 여자가 아닌 남자가 집사가 될 수 있는 것으로 목사의 자격과 동일합니다.

e. 집사는 교회 성도로부터 존경 받는 자 이어야 한다. (13절)

집사는 교회 성도로부터 존경받는 직분으로 믿음안에서 강건한 자입니다.

교회의 직분은 하나님께서 주신 성직입니다. 그러나 이러한 직분이 지금 시대에 땅에 떨어졌는데 그 이유는 하나님 말씀대로 실행 하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하나님을 섬기는 교회의 직분을 거짓 목사와 교인들이 자신들의 욕심을 채우기 위해서 세상 조직의 직분과 같이 교회의 직분을 취하려 하고, 목사들은 하나님의 말씀대로 하지 않고 교회성장을 위하여 직분을 팔고, 장사하는 등의 교회 놀이를 하고 있는 것이 현재 교회의 현실이 되었습니다.

이전 글

15 그리스도인의 가정 - 자녀교육

2020.09.15
다음 글

13 교회의 징계

2020.09.13

댓글 남기기